대학교 졸업만으로는 조종사가 될 수 없습니다.
졸업 후에도 추가적인 자격증 취득과 비행 경력 쌓기 과정이 필요하며,
조종사가 되는 과정은 크게 5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항공운항학과 졸업 (or 조종 교육 과정 이수)
• 한국항공대, 한서대 등에서 조종사 관련 학과를 졸업
• 비행 실습을 통해 기본적인 비행 경험을 쌓음
• 하지만 이 단계에서는 아직 상업용 조종사 면허(CPL)가 없음
2. 조종사 면허(라이선스) 취득
조종사가 되려면 다음과 같은 면허를 순서대로 취득해야 해.
✅ ① 자가용 조종사 면허(PPL, Private Pilot License)
• 소형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는 기본 면허
• 하지만 승객을 태우고 돈을 벌 수는 없음
• 항공대, 한서대 등에서는 학교 과정 중 취득 가능
✅ ② 계기비행 자격(IR, Instrument Rating)
• 날씨가 안 좋은 환경에서도 계기(계측 장비)를 보고 비행하는 능력을 갖추는 과정
✅ ③ 사업용 조종사 면허(CPL, Commercial Pilot License)
• 여기까지 취득해야 돈을 받고 비행할 수 있는 조종사가 됨
• 항공사에 입사하려면 최소 CPL이 필요
✅ ④ 비행시간(Flight Hours) 쌓기
• 항공사 입사 조건을 맞추기 위해 **비행 경력(보통 250~300시간 이상)**을 쌓아야 함
• 항공대/한서대 등에서 졸업할 때까지 100~150시간 정도는 확보 가능
• 부족한 시간은 **비행학교(FTO, Flight Training Organization)**에서 추가 실습하거나, 경비행기 조종 경험을 쌓아야 함
✅ ⑤ 운송용 조종사 면허(ATPL, Airline Transport Pilot License)
• 기장이 되기 위해 필요한 최상위 조종사 면허
• 항공사 입사 후 부기장으로 일정 기간 비행한 후 취득 가능
3. 항공사 입사 준비
면허를 취득하고, 일정 비행시간을 쌓은 후에는 항공사 채용 시험을 준비해야 합니다.
대부분 다음과 같은 과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필기시험: 항공법, 항공역학, 기상학 등
✈ 영어 시험: 국제 항공무대에서 필수
✈ 면접 & 시뮬레이터 시험: 실제 조종 능력 테스트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같은 대형 항공사 외에도 **LCC(저비용 항공사)**나 외국 항공사에서도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4. 항공사 부기장(OJT) 과정
• 항공사에 입사하면 훈련생(트레이니) → 부기장으로 배정됨
• 이 단계에서 실제 여객기나 화물기를 조종하는 경험을 쌓음
• 일정 비행시간이 지나면 기장 승격 시험을 볼 수 있음
5. 기장(캡틴)으로 승격
• 보통 부기장으로 7~10년 정도 비행한 후, 기장 승격 과정(ATPL)을 거쳐 기장이 될 수 있음
▶ 항공운항학과 졸업 후에도 PPL → CPL → 비행시간 확보 → 항공사 입사 → 부기장 → 기장 과정이 필요함
▶ 최소 4~5년 이상의 추가 훈련이 필요하며, 항공사에 따라 기준이 다름
▶ 비행시간, 실력, 영어 실력이 중요
만약 항공대나 한서대 같은 항공 특화 대학이 아니라도 비행학교(FTO)에서 조종사 면허를 따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학비가 비싸기 때문에 대학교를 통해 훈련받는 것이 비용적으로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군대를 이용해서도 조종사를 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 조정사 되는법 자세히 알아보기, 전국항공운항학과 알아보기
항공기 조정사 되는 법, 전국 항공운항학과, 항공관련학과
요즘 한공운항학과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하늘길은 정말 또 다른 매력이 있나 봅니다.그런 하늘길은 아무에게나 내어주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것 같습
fill09.com
여객운항배우는 예상비용 , 군대로 비행기운항 공군 알아보기
항공 조종사 예상비용 , 군대 후 항공조정사 되는법, 민간항공교육
여객기 운항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실습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부담스러운게 사실입니다.대략 얼마 정도의 비용이 필요한지 그 과정과 금액을 알아보았습니다. 1.
fill09.com